한산자(寒山子) 31회. 삼정운동 서춘 삼정선원. 2016년 10월 26일 14시 47분. 少年何所愁 소년하소수 愁見鬢毛白 수견빈모백 白更何所愁 백경하소수 愁見日逼迫 수견일핍박 移向東岱居 이향동대거 配守北邙宅...
바른뜻 ㆍ바른말ㆍ 바른일(20161026)
유종원(柳宗元) 詩모음 유종원(柳宗元;773-819) 당나라 하동해(河東解) 사람. 자는 자후(子厚)고, 유하동(柳河東) 또는 유유주(柳柳州)로도 불린다. 덕종(德宗) 정원(貞元) 9년(793) 진사 시험에 합격하고, 14년(798)...
이화에 월백하고(20180708)
한산자(寒山子) 30회. 삼정운동 서춘 삼정선원. 2016년 10월 25일 15시 16분. 杳杳寒山道 묘묘한산도 落落冷澗濱 낙락냉간빈 啾啾常有鳥 추추상유조 寂寂更無人 적적경무인 淅淅風吹面 석석풍취면 紛紛雪積身...
바른뜻 ㆍ바른말ㆍ 바른일(20161026)
한산자(寒山子) 36회. 삼정운동 서춘 삼정선원 2016년 10월 28일 09시 22분. 富兒多鞅掌 부아다앙장 觸事難祇承 촉사난기승 倉米已赫赤 창미이혁적 不貸人斗升 부대인두승 轉懷鉤距意 전회구거의 買絹先揀綾...
바른뜻 ㆍ바른말ㆍ 바른일(20161028)
한산자(寒山子) 35회. 삼정운동 서춘 삼정선원 2016년 10월 27일 22시 10분. 東家一老婆 동가일노파 富來三五年 부래삼오년 昔日貧於我 석일빈어 今笑我無錢 금소아무전 渠笑我在後 거소아재후 我笑渠在前...
바른뜻 ㆍ바른말ㆍ 바른일(20161027)
그래서 재송도인이 산사에서 내려오는데 때마침 마을 우물가에서 처녀를 만나“낭자! 소청 하나 들어주시오. 해가 저문 노인이 잘 곳이 없구려." 하자 “그러시다면 동네 가운데 큰 기와집이 저의 집이니 그리로...
바른뜻 ㆍ바른말ㆍ 바른일(20161022)
택당선생집 제2권 시 광주(광주)에서 집에 돌아와 백거(백거) 족제(족제)에게 부치다. 경신년 청운의 뜻 펼칠 그릇 본래 못 되는 데다 / 본핍청운기 다 함께 백발의 어버이를 모시는 몸 / 구장백발친 이제는 전원...
珠申 "阿利水로 寮水로 !"(20120830)
한산자(寒山子) 45회. 삼정운동 서춘 삼정선원 2016년 10월 30일 22시 26분. 騮馬珊瑚鞭 유마산호편 驅馳洛陽道 구치낙양 自矜美少年 자긍미소년 不信有衰老 불신유쇠노 白髮會應生 백발회응생 紅顔豈長保...
바른뜻 ㆍ바른말ㆍ 바른일(2016103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